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인동덩굴

호남인1 2012. 2. 2. 10:30

 

 

 

 

 

인동덩굴

학명: Lonicera japonica Thunb. 

 

 

 

 

이명: 인동, 금은화, 눙박나무, 섬인동, 털인동덩굴, 우단인동, 우단인동덩굴,겨우살이덩굴,인동초,

영명: Japanese Honeysuckle, Golden-and-silver Flower, /꽃말 : 사랑의 굴레, 우애, 헌신적 사랑

분류: 피자식물문 > 쌍자엽식물강 > 합판화아강 > 산토끼꽃목 > 인동과> 인동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함북을 제외한 전국 산야에 자생) 일본, 중국, /서식: 산, 들/크기: 높이 3-4m

생약명: 경엽(莖葉)은 忍冬藤(인동등), 꽃봉오리는 金銀花(금은화), 과실은 銀花子(은화자), 꽃봉오리의 수증기증류액은 金銀花露(금은화로)라 하며 약용한다.

 

반상록활엽의 덩굴성관목 

마주 달리고 타원형이며, 가지 길게 뻗어 다른 물체 감으면서 올라간다. 5~6월에 피고 백색이지만 연한 홍색 돌며 황색으로 변하, 잎겨드랑이 달리 향기 있다. 에는 같은 포가 마주나, 열매 둥글며 10~11월에 검게 익는다. 한방에서는 줄기 종기, 매독, 임질, 치질 등에 사용하며, 해독 미용 작용 있다고 하여 () 만들기 한다. 겨우살이덩굴", "금은등"(金銀藤), "금은화"(金銀花), "인동"(忍冬), "인동초"(忍冬草) 등으로도 불린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인동덩굴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26580

 

 

잎은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원저이며 길이 3-8cm, 너비 1-3cm로서 톱니가 없고 털이 없어지거나 뒷면 일부에 남으며 엽병은 길이 5mm로서 털이 있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7-8mm로 서로 떨어져 9-10월에 흑색으로 성숙한다.

꽃은 6-7월에 피고 1-2개씩 엽액에 달리며 포는 잎 바로 밑에달리고 길이 2-3cm이며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대생하며 소포는 길이 1mm이다. 꽃받침은 털이 없고 열편은 털이 있으며 화관은 길이 3-4cm이고 백색에서 황색으로 되며 겉에 털이 있고 통부 안쪽에 복모가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그 중 1개가 깊게 갈라져서 뒤로 말린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줄기가 오른쪽으로 감아 올라가고 소지는 적갈색이며 골속이 비어 있고 황갈색 털이 밀생한다.

 

 

--------------------------------------------

한국 전역 산야의 숲가나 구릉지 또는 인가 주변에서 자란다. 줄기는 오른쪽으로 감고 올라가 길이가 3m에 이르고, 어린가지는 적갈색으로 털이 있으며 속이 비어 있다. 잎은 넓은 피침형 또는 난형으로 마주나며, 끝은 둔하다. 잎은 길이 3~8㎝, 너비 1~3㎝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6~7월경 잎겨드랑이에 1, 2개씩 피며, 꽃잎은 길이 3~4㎝로 처음에는 흰색이지만 곧 노란색으로 변한다. 꽃잎의 끝은 5개로 갈라지며 그중 1개가 깊게 갈라져 뒤로 말린다. 꽃잎 안쪽에는 굽은 털이 있고,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9~10월에 익는데 지름은 7~8㎜이다.

 

 

인동과 겨우살이덩굴이란 이름은 겨울에도 줄기가 마르지 않고 겨울을 견디어내 봄에 다시 새순을 내기 때문에 붙여졌으며, 금은화란 이름은 흰꽃과 노란꽃이 한꺼번에 달리기 때문에 붙여졌다.

 

흔히 인동초(忍冬草)라고 불리는 것도 인동을 가르키는 것으로 곤경을 이겨내는 인내와 끈기를 일컫는 말로 쓰인다. 꽃을 따서 빨면 꿀이 나와 어린이들이 좋아한다.

 

어린가지와 잎에 갈색 털이 있는 것을 털인동(var. repens), 잎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에 거의 털이 없고, 위 꽃잎이 반 이상 갈라지며 겉에 홍색이 도는 것을 잔털인동(for. chinensis)이라고 한다.

 

한방과 민간에서는 잎과 꽃을 이뇨제·해독제·건위제·해열제·소염제·지혈제로 쓰며 구토·감기·임질·관절통 등에 사용한다. 또한 인동주(忍冬酒)를 담그기도 하는데 이것은 각기병에 좋다고 하며, 목욕물에 풀어 목욕하면 습창·요통·관절통·타박상 치료에 적합하다고 하여 인삼에 버금가는 약초라고 한다. 주요성분으로 루테올린 이노시톨과 타닌 성분이 있다. 李相泰 글

 

 

 

인동덩굴 (학명: Lonicera japonica Thunberg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덩굴성 관목이다.

줄기는 길게 자라 다른 것에 휘감기며, 오랜 나무껍질은 세로로 갈라진다.

겨울동안 잎이 지지 않고 견디었다 하여 중국에서 인동초(忍冬草)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 우리나라에서 인동덩굴로 되었다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하고는 낙엽이 지고 줄기만 남아 있는 것이 보통이다.

 

낙엽성 또는 반낙엽, 반상록성 덩굴 식물로 줄기는 연갈색이다.

줄기는 3m정도 자라며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가며 겨울에는 낙엽이 되기도 한다.

잎은 가지에서 마주나고 잎자루는 짧으며 타원형이고 길이 3-8㎝이다.

잎모양은 계란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잎 뒷면에는 잔털이 나 있다.

 

꽃은 5-7월에 두 개가 쌍으로 함께 피며 향기가 난다.

긴 깔때기 모양의 꽃이 처음에는 흰색에서 연분홍색이었다가 후에 황색으로 변한다.

흰꽃과 노랑꽃이 동시에 보이기 때문에 금은화(金銀花)라는 별명이 있다.

열매는 장과로 공의 모양이며 가을에 검게 익는다.

 

인동꽃은 술에 담가 먹으며, 관상용으로 정원이나 화분에 심어 가꿀 수 있다.

잎을 말린 것은 타닌을 함유하며 차의 대용으로 이용된다.

건축과 공예에 장식무늬로 사용하기도 하며 밀원식물이다.

 

줄기, 잎, 꽃, 과실은 한방 및 민간에서 이뇨, 해독, 종기, 부종, 감기, 지혈, 정형, 하리(下痢, 이질), 구토, 건위, 해열 등에 다른 약재와 같이 처방하여 약으로 쓴다.

다른 이름으로는 인동, 금은화, 이보화, 좌리등, 수양등, 노용수, 쌍화, 은화등, 금화, 은화, 다엽화, 능박나부, 겨우살이덩굴 이포화, 이화, 금은 등이 있다.

민간에 전해오는 이야기로는 귀신이 씌워 오한과 고열이 나고 정신을 빼앗겨 끝내는 죽게 된다는 병을 오시병(五尸病)이라 하는데, 이 인동덩굴은 오시병을 고치는 명약이라 하여 통령초(通靈草)라 부른다.

내한성이 강하여 전국 어디에서나 자라며 건조한 곳에서도 충분한 햇볕만 받으면 생육이 왕성하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자생하며 북아메리카·유럽에서는 관상의 목적으로 재배되었으나 야생화하여 나고 있다.

인동덩굴의 꽃말은 '사랑의 굴레'이다. 출처: 무지개세상

 

 

 

생육환경

산야에서 자란다. 배수가 잘 되는 사양토 또는 양토가 좋으나 토질은 특별히 가리지 않고 어디서든 잘 자란다. 내한성이 강하여 전국 어디에서나 자라며 건조한 곳에서도 충분한 햇볕만 받으면 생육이 왕성하다. 생장이 빠르고 공해에도 강하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수분; 보통 

 

번식방법

번식은 분근이 가장 용이하다. 대량의 묘목을 얻기 위해서는 삽목을 하는 것이 좋으며 발근율이 높고 3-9월까지 일반 노지에서 가능하다. 

결실기: 9월, 10월  /삽목기: 3월, 4월, 7월 

 

이용방안

척악지 녹화 또는 아치 등에 감아 올리는 경계용 생울타리로도 적당하다.

경엽(莖葉)은 忍冬藤(인동등), 꽃봉오리는 金銀花(금은화), 과실은 銀花子(은화자), 꽃봉오리의 수증기증류액은 金銀花露(금은화로)라 하며 약용한다.

 

 

경엽(莖葉)은 忍冬藤(인동등), 꽃봉오리는 金銀花(금은화), 과실은 銀花子(은화자), 꽃봉오리의 수증기증류액은 金銀花露(금은화로)라 하며 약용한다.

 

⑴忍冬藤(인동등)

 ①가을과 겨울에 엽(葉)이 달린 덩굴을 채취하여 작은 다발로 묶어서 또는 잘게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잎에는 lonicerin, 즉 luteolin-7-rhamno-glucoside와 luteolin 등의 flavonoid류(類)가 함유되었고 줄기에는 tannin, alkaloid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解熱(해열), 通經絡(통경락)의 효능이 있다. 溫病發熱(온병발열), 熱毒血痢(열독혈리), 전염성간염, 癰腫瘡毒(옹종창독), 筋骨疼痛(근골동통)을 치료한다.

 

⑵金銀花(금은화)

①인동덩굴의 꽃봉우리로서, 5-6월 맑게 갠날 이른 아침에 이슬이 마를 때를 기다려서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그늘에 말린다.

②성분 : 꽃에는 luteolin, inositol 약 1%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외에 saponin, tannin을 함유한다.

③약효 :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溫病(온병)으로 인한 發熱(발열), 熱毒血痢(열독혈리), 癰瘍(옹양), 腫毒(종독), (나력), 痔漏(치루)를 치료하며 또 外感發熱咳嗽(외감발열해수), 장염, 細菌性赤痢(세균성적리), 痲疹(마진), 耳下腺炎(이하선염), 패혈증, 瘡筋腫毒(창근종독), 맹장염, 外傷感染(외상감염), 小兒 毒(소아비독-汗疹(한진))의 치료에 쓴인다. 凉茶(양차-상기 증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복용하는 차)로서 복용하면 暑氣滯(서기체), 感冒(감모), 腸(장)의 전염병 등을 예방할 수 있다.

 

⑶銀花子(은화자)

①10월하순부터 11월상순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다음 손으로 만져보아 뜨겁고 점성이 약간 있을 정도로 볶는다.

②약효 : 淸血(청혈), 祛濕熱(거습열), 淸凉(청량), 해독의 효능이 있다. 腸風(장풍), 赤痢(적리)를 치료한다. ⑷金銀花露(금은화로) - 淸熱(청열), 養血(양혈), 消暑(소서), 止渴(지갈)의 효능이 있다. 暑溫口渴(서온구갈), 熱毒瘡癤(열독창절), 癰疽(옹저), 梅毒(매독), 血痢(혈리)를 치료한다.

 

 

유사종

▶털인동(var. repens Rehder) : 새로 자란 가지와 잎에 갈색털이 있는 것.

▶잔털인동(for. chinensis Hara) : 잎의 가장자리외에는 거의 털이 없으며 상순(上脣)은 반 이상 갈라지고 겉에 엷은 홍색이 도는 것.

▶붉은인동(for. rubra): 붉은 꽃이 피는 것. 

 

특징

1차식생이며 울폐된 숲에서는 나무에 기어올라 자라며, 늦게 난 잎은 때로 상록으로 월동하기도 한다. 

 

병충해정보

▶병충해 : 줄나비 유충 

 

 

 

생약명 - 인동등[忍冬藤] 

 

다른이름 : 金銀藤(금은등),金銀花藤(금은화등),金釵股(금채고),老翁須(노옹수),鷺鷥藤(로사등),蜜桶藤(밀통등),鴛鴦藤(원앙등),忍冬草(인동초),忍寒草(인한초),左纏藤(좌전등),千金藤(천금등),甛藤(첨등),通靈草(통영초)

약       맛 : 감(甘)  신(辛)     

귀       경 : 심(心)  폐(肺)    

주       치 : 熱毒血痢,溫病發熱,癰腫,瘡毒,風濕熱痹,皮膚風痒

약용부위 : 줄기와 가지

처       방 : 인동등탕(忍冬藤湯) : 의학입문

금       기 : 脾胃虛寒, 泄瀉不止者는 사용을 금한다.

효       능 : 疏風通絡,淸熱解毒

주치증상 : "<別錄(별록)>: 寒熱往來(한열왕래)와 몸이 붓는 증상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수명을 늘린다.

<甄權(견권)> : 배가 빵빵하고 그득한 것을 치료하며 氣(기)가 아래로 쳐지는 것을 치료한다.

<陳藏器(진장기)> : 熱毒(열독)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피 섞인 痢疾(이질)에 진하게 달여서 복용한다.

<李時珍(이시진)> : 죽은 사체로부터 옮겨지는 전염병을 치료하고 모든 風濕(풍습)의 邪氣(사기)를 물리치며 모든 벌겋게 붓는 증상과 부스럼을 치료한다. 매독과 같은 피부질환을 치료하며 熱邪(열사)를 제거하고 熱毒(열독)을 푼다."

약물이름의 기원 : "이명으로는 金銀藤(금은등), 鴛鴦藤(원앙등), 鷺鷥藤(로사등), 老翁須(노옹수), 左纏藤(좌전등), 金釵股(금채고), 通靈草(통영초), 蜜桶藤(밀통등)이 있다.陶弘景(도홍경) : 곳곳에 난다. 넝쿨이 살아서 추운 경울에도 시들지 않기 때문에 忍冬(인동)이라는 명칭이 생겼다.

李時珍(이시진) : 그 꽃잎은 길게 늘어져있고, 황색과 백색이 반반씩 차지하며 넝쿨은 왼쪽으로 감긴다. 때문에 金銀(금은), 鴛鴦(원앙) 등의 명칭을 갖게 되었다. 金釵股(금채고)는 그 효능을 귀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土宿眞君(토숙진군)은 蜜桶藤(밀통등)은 陰草(음초)이다. 즙은 수은과 유황의 독을 억누를 수 있기 때문에 通靈(통영)이라는 명칭이 생겼다."

 

 

 

 

인동속(Lonicera) 31종

 

각시괴불나무 (Lonicera chrysantha Turcz.)

개들쭉나무 (Lonicera caerulea var. emphyllocalyx (Maxim.) Nakai)

괴불나무  (Lonicera maackii (Rupr.) Maxim.)

구슬댕댕이 (Lonicera vesicaria Kom.)

길마가지나무 (Lonicera harai Makino)

넓은잎댕댕 (Lonicera caerulea var. longibracteata for. ovata Hara)

넓은잎산괴불 (Lonicera chrysantha var. latifolia Korsh.)

댕댕이나무 (Lonicera caerulea var. edulis Turcz. ex Herder)

두메홍괴불나무 (Lonicera maximowiczii (Rupr.) Regel )

둥근잎댕댕이 (Lonicera caerulea var. venulosa (Maxim.) Rehder)

물앵도나무 (Lonicera ruprechtiana Regel)

볼레괴불나무 (Lonicera monantha Nakai)

분홍괴불나무 (Lonicera tatarica L.)

붉은인동 (Lonicera periclymenum)

산괴불나무 (Lonicera chrysantha var. crassipes Nakai)

섬괴불나무 (Lonicera insularis Nakai)

숫명다래나무 (Lonicera coreana Nakai)

암괴불나무 (Lonicera nigrum var. barbinervis (Kom.) Nakai)

올괴불나무 (Lonicera praeflorens Batalin)

왕괴불나무 (Lonicera vidalii Franch. &Sav.)

인동덩굴 (忍冬草) (Lonicera japonica Thunb.)

잔털인동 (Lonicera japonica for. chinensis Hara)

절초나무 (Lonicera chrysantha var. longipes Maxim.)

지리괴불나무 (Lonicera cerasoides Nakai)

청괴불나무 (Lonicera subsessilis Rehder)

털괴불나무 (Lonicera subhispida Nakai)

털산괴불나무 (Lonicera chrysantha for. villosa Hort)

털인동 (Lonicera japonica var. repens (Siebold) Rehder)

홍괴불나무 (Lonicera sachalinensis (F.Schmidt) Nakai)

흰괴불나무 (Lonicera tatarinowii var. leptantha (Rehder) Nakai)

흰등괴불나무 (Lonicera maximowiczii var. latifolia (Ohwi) Hara)

===================================================================================================

 

 

사진출처 - 야생화겔러리 / http://floma.kr/xe/?mid=WildFlower

 

 

 

 

 

 

=============================================================================================================================

바로가기

 

산토끼꽃 | 식물도감(植物圖鑑)

인동 | 식물도감(植物圖鑑)

인동 | 식물도감(植物圖鑑)

인동덩굴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한국서식 인동속(忍冬屬)식물의 꽃과 열매 | 식물도감(植物圖鑑)

인동(忍冬) - 인동초의 성분과 약효에 대해서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6. - 4,903種중 (3471. 아마과 - 4203. 쥐방울덩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에다소나무 - 포토  (0) 2012.02.03
일본조팝나무   (0) 2012.02.02
인가목조팝나무 - 포토  (0) 2012.02.02
인가목 - 포토  (0) 2012.02.02
익모초(益母草/육모초)   (0) 2012.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