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갯보리 (학명 Elymus dahuricus Turcz. ex Griseb.)

호남인1 2011. 6. 8. 22:35

 

 

 

 

갯보리 (학명 Elymus dahuricus Turcz. ex Griseb.)

갯보리 [애기갯보리] [좀갯보리] [큰갯보리]

(Siberian Wild Rye) /분류 외떡잎식물강 > 벼목 > 벼과 /분포 아시아 | 서식지  바닷가 /크기 약 50cm~1m lyme grass라고도 함.

벼과(―科 Poaceae)에 속하며 50여 종(種)으로 이루어진 갯보리속(―屬 Elymus)의 다년생초.

 

 

북반구 온대와 한대 지역에서 자라며 동물들의 먹이로 쓰인다. 북아메리카에서는 엘리무스 키네레우스(E. cinereus), 엘리무스 비르기니쿠스(E. virginicus)와 엘리무스 카나덴시스(E. canadensis) 등을 흔히 볼 수 있다.

유라시아가 원산지인 엘리무스 아레나리우스(E. arenarius)는 키가 0.6~2.5m 정도이고, 뿌리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자라며 꽃은 호밀처럼 수상(穗狀)꽃차례를 이루어 가지 끝에 빽빽하게 무리져 핀다. 바닷가 모래 언덕에 모래막이 식물로 심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갯보리속 식물로는 갯보리(E. dahuricus)를 비롯하여 개보리와 갯그령 등 3종이 있다. 개보리는 북쪽 지방에서만 자라고, 갯보리와 갯그령은 바닷가에서 자란다. 출처: 브리태니커

 

 

바닷가에서 자란다. 높이는 50∼100cm이고 털이 없다. 잎은 편평하고 길이 10∼20cm, 나비 4∼8mm로 털이 없다.

꽃은 7∼8월에 피고 꽃이삭은 길이 15cm 정도이며 양쪽에서 작은이삭이 어긋난다. 작은이삭은 대개 2개씩 달리고 3∼4개의 작은꽃으로 되며 녹색이다. 열매는 긴 타원형이며 까락이 있다. 포영은 바소꼴이고 첫째 포영은 3맥, 둘째 포영은 5맥이 있으며 모두 맥 위에 잔돌기가 있다.

호영은 5맥이 있고 길이 20mm 정도의 까락은 꺾이거나 곧으며 잔 돌기가 있다.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비슷하며 맥 위에 잔털이 있다.수술은 3개이고 꽃밥은 길이 2∼2.2mm이며 씨방 끝에 털이 있다.

한국(제주도·경상북도·강원도·경기도·황해도·함경남도·함경북도), 일본, 동시베리아 온대, 중국 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무지개세상

 

• 잎   엽초는 털이 없으며 엽설은 길이 1mm 가량이고 평두(平頭)이다. 잎은 납작하며 길이 10-20cm, 폭 4-8mm로 표면은 껄끄러우며 뒷면은 털이 없고 때로는 분록색을 띤다.

• 꽃 꽃은 7-8월에 피고 수상화서는 길이 15cm, 폭 6-10mm로서 곧추서며 양쪽에 소수(小穗)가 호생하는데 소수는 보통 2개씩 달리고 길이 1-1.5cm로서 3-4개의 소화로 되며 보통 녹색이고 소수경에는 잔털이 밀생한다. 포영은 피침형이고 첫째 것은 길이 11mm로서 3맥이 있으며 둘째 것은 길이 13mm로서 5맥이 있고 모두 맥 위에 잔돌기가 있다. 호영은 피침형이고 길이 10mm로서 5맥이 있으며 끝이 갈라지고 길이 20mm정도의 까락이 돋으며 까락은 꺽이거나 곧고 잔돌기가 있다. 내영은 호영과 길이가 비슷하며 2맥이 있고 맥줄에는 잔털이 있다. 수술은 3개이며 꽃밥은 길이 2-2.2mm이고 자방 끝에 털이 있다.

• 줄기 높이 50-100cm이며 털이 없고 뭉쳐나며 곧게 선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 형태 다년초이다.

• 크기 높이 50-100cm이다. 출처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갯취 - 포토   (0) 2011.06.09
갯씀바귀 - 포토  (0) 2011.06.09
갯기름나물 - 포토  (0) 2011.06.08
갯개미자리 - 포토  (0) 2011.06.08
으아리 - 포토  (0) 2011.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