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과 별자리이야기
허블 망원경 설립 16주년을 맞아 나사(NASA)와 유럽 우주항공기구(European Space Agency)는 메시에 82(Messier 82) 갤럭시의 화려한 광선(스타버스트)을 담은 고해상 사진을 새로 선보였다.
이 사진은 이른바 시가 갤럭시(Cigar Galaxy)의 중심부에서 수백개의 어린 별들이 새롭게 생성되는 장면을 보여주고 있다. 와이어드 뉴스가 제공하는 허블 스윗 16 갤러리에서는 최근 수년간 촬영한 허블 사진 중 가장 뛰어난 일부 명장면을 담았다. 모든 사진들은 나사의 후원으로 제공됐다. ESA의 허블사이트( Hubble site)에 들어가면 더 많은 내용을 볼 수 있다.
본 사진은 나사와 ESA, 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의 허블 헤리티지 팀에 저작권이 있음을 밝혀둔다.
![]() |
이 모자이크 이미지는 메시에 82의 스타버스트 장면을 광각으로 가장 선명하게 촬영한 사진이다. 여기에 있는 별들은 은하계보다 10배 정도 빠르게 생성된다.

메시에 82(합성1)
찬드라 X-선 관측소(Chandra X-Ray Observatory)가 기록한 X-선 데이터는 메시에 82갤럭시의 이 사진에서는 파란색으로 나타난다. 스피처 우주 망원경(Spitzer Space Telescope)이 기록한 적외선은 붉은 색을 띤다. 허블망원경으로 수소 방출 장면을 관측하면 오렌지색을 띤다. 허블 망원경에서 가장 푸르게 관측되는 부분은 황록색으로 나타난다.
![]() |
M82(합성2)
M82는 에너지 수위에 따라 3가지 형태의 밴드로 보여지는데, 적색 (가장 낮은 에너지의 X선 광자)과 녹색, 청색(가장 높은 에너지의 X선 광자) 등으로 식별된다.
![]() |
M82 (합성 3)
M82는 파장길이에 따라 3가지 형태의 밴드로 보여지며, 적색(가장 긴 파장), 녹색, 청색(가장 짧은 파장) 등으로 식별된다
![]() |
M82 근접촬영
M82를 근접 촬영한 사진 중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왼쪽사진의 푸른색을 띠는 원모양은 이제 막 생성된 어린 별들이 밀집돼 있는 장면이며, 중앙사진은 별이 형성되고 있는 덩어리를 따라 가스와 먼지 등이 뒤덮고 있는 모습이다. 오른쪽 사진은 별사이에 붉은색 가스와 먼지가 뒤덮고 있는 장면.
![]() |
허블망원경 보수장면
우주 비행사 스티븐 스미스(Steven Smith)가 지난 1997년 2월 허블우주 망원경을 보수하는 모습.
|

허블망원경 근접촬영
2002년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의 화물실에서 촬영된 허블 망원경의 모습
![]() |
M17 성운
2003년 촬영한 이 사진에서는 가스성분이 색깔로 구분,표시돼 있다. 유황성분은 적색으로 보여지며 수소는 녹색, 산소는 청색으로 각각 나타난다.
![]() |
V838 모노케로티스
V838은 은하계 외곽에서 약 2만광년 떨어져 있다. 2005년에 촬영된 이 사진을 통해 주변 먼지구름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 것은 이른바 '라이트 에코우(light echo)' 효과때문이다. 즉 2002년 폭발 상황에서도 보듯이, 소리가 공기를 통과할때 울림 반응을 일으키는 것처럼 빛도 우주를 통과할 때 같은 현상을 나타내는데 빛이 바깥쪽으로 팽창하면서 물체를 비춤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이다.
|

헬릭스 성운(Helix Nebula)
650광년 떨어진 거리에 위치한 헬릭스 성운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 성운이다. 행성 성운은 소멸돼가는 태양과 같은 별 주위에서 작열하는 가스덩어리이다. 이 사진은 허블 촬영사진과 애리조나 투손에 위치한 키트 피크 국립 관측소의 모자익 카메라로 찍은 영상을 합성한 것이다.
|

콘 성운(Cone Nebula)
2002년 4월 2일 허블망원경 위에서 우주 관측용 첨단 카메라(Advanced Camera for Surveys)로 찍은 콘 성운 사진은 2.5광년 거리의 가스 먼지 기둥 상단부분을 찍은 것이다. 전체 성운은 7광년의 거리이다.
![]() |
N 63A
2005년 허블의 광역행성 카메라 2(Wide Field Planetary Camera 2)로 촬영한 이 사진은 가스가 폭발돼 흩어져 이미 혼돈지역으로 바뀐 거대한 별의 잔해들을 보여준다. 이 성운은 은하계로부터 16만 광년이 떨어져 있는 거리에 위치해 있다.

버그 성운(Bug Nebula)
버그 성운은 지금까지 관측된 행성 성운 중 가장 밝으면서도 매우 독특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 |
초기의 우주
이처럼 장기간 노출된 합성사진은 지금까지 찍은 사진 중 우주의 가장 내면적인 모습을 담은 것이다. 이 사진은 거의 빅뱅 직전 모습까지 거슬러 보여주고 있는데, 낯선 은하계끼리 서로 충돌해 이상한 모양으로 재형성되면서 극도의 혼돈상태를 나타낸다. 이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지구 주변 400개의 허블 궤적을 따라 800회의 노출을 필요로 했다. 노출시간은 2003년 9월 24일부터 2004년 1월 16일까지 모두 11.3일정도 걸렸다.
별과 별자리이야기 http://club.paran.com/aldebaran
출처/http://club.paran.com/club/home.do?clubid=aldebaran-bbsView.do?menuno=367177-clubno=189654-bbs_no=0O5Jk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개불알풀(봄까치풀) - 포토 (0) | 2011.04.05 |
---|---|
개나리 - 포토 (0) | 2011.04.03 |
다육식물 - 크로커 다일 (Sedum 'Crocodile') (0) | 2011.03.30 |
가는잎쑥 - 포토 (0) | 2011.03.30 |
더위지기 - 포토 (0) | 2011.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