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대풀
학명: Euphorbia helioscopia L.
이명: 등대대극, 등대초, /영명: Sun Euphorbia /원산지: 한국, /분포: 경기도 이남
분류: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쥐손이풀목 /대극과 대극속
/크기: 높이 30cm. /생육환경: 들
생약명: 全草(전초)를 澤漆(택칠)이라 하며 약용한다.
두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23~35센티미터로, 꺾으면 흰 즙액이 나온다. 주걱 모양의 잎이 어긋나고, 5월에 황록색 꽃이 핀다. 뿌리는 독이 있으며 약으로 쓰인다. 경남, 경기, 제주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등대풀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35267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으며 주걱상 도란형 또는 도란형이고 원두 또는 요두이며 길이 1~3cm, 폭 6-20mm로서 밑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가지가 갈라지는 끝부분 밑에서 5개의 잎이 윤생한다. 윤생엽은 보다 크고 총포엽은 넓은 도란형이며 약간 작다.
열매는 삭과로 밋밋하고 털이 없으며 길이 3mm로서 3개로 갈라지고 종자는 도란형이고 갈색이며 길이 1.8mm로서 겉에 그물무늬가 있다.
화서에 많은 배상화서가 달리고 소총포는 황록색이며 합쳐져서 단지처럼 되고 지름 2mm로서 윗부분만이 4개의 포편으로 되며 4개의 선체가 있고 총포 안에 1개의 암꽃과 몇 개의 수꽃이 있으며 모두 긴 소화경이 있고 암술대는 3개이며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며 높이가 30cm에 달하고 가을철에 나와 다음해에 무성해지며 자르면 유액이 나오고 흔히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지며 윗부분에 긴털이 약간 있다. 전초에 사포닌이 들어 있다.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거꾸로 세운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잎은 밑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데 가지가 갈라지는 끝부분에서는 5개의 잎이 돌려난다.
높이 30cm 정도로 자라는 줄기는 원기둥 모양으로 아래쪽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상처를 입으면 유액이 나온다
꽃차례(花序) - 배상꽃차례, (배상화서)
꽃은 황록색으로, 5월경이 되면 단지 모양의 총포 속에 1개의 암꽃과 몇 개의 수꽃이 가는 자루에 붙어서 피어난다. 이때, 수꽃·암꽃은 모두 1개의 수술과 암술을 차지고 있으며 꽃잎은 없는데, 이러한 꽃차례를 특히 배상꽃차례라고 한다.
열매는 공 모양의 삭과로, 안이 3개의 방으로 나뉘어 있으며, 익으면 벌어지게 된다.
경기도 이남의 산지나 들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로 한국이 원산지이다.
택칠(澤漆) 혹은 오풍초라 불리기도 한다.
등대풀은 뱃길을 밝혀주는 등대처럼 가운데 부분이 유난히 환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잎 사이로 조금 밝은 녹황색으로 피어난 모습이 마치 캄캄한 어둠의 밤바다를 밝혀주는 등대같다고 해서 '등대풀'이라 한다.
全草(전초)를 澤漆(택칠)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4-5월 개화시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Quercetin, quercetin-3-galactoside, quercetin-3-galacto-galactoside, 沒食子酸(몰식자산)이 함유되어 있다. 乳汁(유즙)은 m-hydroxy-phenylglycin, 3,5-dilhydroxy 安息香酸(안식향산)이 함유되어 있고 건조된 유즙에는 caoutchouc(ployterpene) 13%, 樹脂(수지) 62%, 水溶性物(수용성물) 25%가 함유되어 있다. 종자에는 수분 7.74%, 脂肪油(지방유) 32.61%, 단백질 17.43%, cellulose 33.82%, 糖分(당분) 및 glycoside 2.18%가 함유되어 있고 자방유는 乾性油(건성유)로 峻下作用(준하작용)이 있다.
③약효 : 行水(행수), 消痰(소담), 살충, 消毒(소독)의 효능이 있다. 水氣腫滿(수기종만), 痰飮喘咳(담음천해), 말라리아, 細菌性下痢(세균성하리), 나력, 癬瘡(선창), 結核性痔漏(결핵성치루), 骨髓炎(골수염)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9g을 달여 마시거나 또는 膏劑(고제),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거나 膏劑(고제)를 붙이거나 분말을 만들어 조합하여 붙인다.
유사종
▶흰대극(E. esula L.): 전체에 털이 없으며, 분백색, 잎은 피침형, 주걱 모양, 꽃은 노란색이다.
▶두메대극(E. fauriei): 제주도 한라산의 산지에 자라며 잔털이 분포. 잎은 난상 타원형, 긴 타원형, 꽃은 황록색이다.
▶암대극(E. jolkini):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피침형, 선상 피침형, 꽃은 황록색이다.
특징
유독 식물이다.
=============================================================================================================================
국가지식포럼등록
대극속(Euphorbia) 27종
개감수 (Euphorbia sieboldiana Morren &Decne.)
낭독 (Euphorbia pallasii Turcz.)
누운땅빈대 (Euphorbia prostrata Aiton.)
단주대극 (Euphorbia hylonoma Hand.-Mazz.)
대극 (Euphorbia pekinensis Rupr.)
두메대극 (Euphorbia fauriei H.Lev. &Vaniot ex H.Lev.)
등대풀 (Euphorbia helioscopia L.)
땅빈대 (Euphorbia humifusa Willd. ex Schltdl.)
목포대극 (Euphorbia pekinensis var. subulatifolius (Hurus.) T.B.Lee)
민참대극 (Euphorbia lucorum for. glabrata (Maxim.) Hurus.)
백두산대극 (Euphorbia hakutosanensis Hurus.)
붉은대극 (Euphorbia ebracteolata Hayata)
설악대극 (Euphorbia ebracteolata for. magna Y.N.Lee)
설악초 (Euphorbia marginata Pursh)
아메리카대극 (Euphorbia heterophylla Linnaeus)
암대극 (Euphorbia jolkini Boiss.)
애기땅빈대 (Euphorbia supina Raf.)
제주대극 (Euphorbia octoradiata H.Lev. &Vaniot ex H.Lev.)
지리대극 (Euphorbia togakusensis Hayata)
참대극 (Euphorbia lucorum Rupr.)
큰땅빈대 (Euphorbia maculata L.)
털땅빈대 (Euphorbia hirta Linnaeus)
톱니대극 (Euphorbia dentata Michx.)
평양대극 (Euphorbia barbellata var. imaii (Hurus.) Kitag.)
포인세티아 (Euphorbia pulcherrima Willd.)
풍도대극 (Euphorbia ebracteolata var. coreana Hurus.)
흰대극 (Euphorbia esula L.)
===============================================================================================================================
사진출처
꽃향기많은집 / http://cafe.daum.net/sunyuricyh?t__nil_loginbox=cafe_list&nil_id=2
야생화겔러리 / http://floma.kr/xe/?mid=WildFlower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09.12 04:31
| 동양미인(東洋美人) 2007.06.08 14:11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괴불나무 - 포토 (0) | 2011.03.24 |
---|---|
대극 (大戟) (0) | 2011.03.24 |
꽃다지 - 포토 (0) | 2011.03.24 |
코데로이 (립스틱) 학명 Echeveria agavoides v Corderoyi (0) | 2011.03.24 |
수리딸기 - 포토 (0) | 2011.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