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꿀풀

호남인1 2011. 1. 15. 10:35

 

 

 

 

 

 

꿀풀

 

 

학명: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Nakai 

이명: 꿀방망이, 가지골나무, 붉은꿀풀  /영명: Prunella vulgaris  /원산지: 한국, /꽃말 : 추억

분류: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꿀풀과 꿀풀속 /분포: 아시아 /서식: 산기슭의 볕이 잘 드는 풀 밭  /크기: 약 20cm~30cm

생약명: 꿀풀/두메꿀풀/흰꿀풀의 果穗(과수)는 夏枯草(하고초), 全草(전초)를 蒸溜(증류)해서 만든 芳香水(방향수)는 夏枯草露(하고초로)라 하며 약용한다.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센티미터 정도이고 전체에 털이 나 있다. 줄기는 네모나며 끝에 뾰족하고 톱니가 있는 잎을 달고 있다. 여름철에 자줏빛 꽃이 이삭 모양으로 핀다. 한약재로 쓰이고 들에 저절로 자란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꿀풀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30001

 

 

 

잎은 대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둔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2~5cm로서 거치가 있거나 없으며 엽병은 길이 1~3cm 정도이지만 윗부분에는 없다.

 

분과는 길이 1.6mm 정도로 황갈색이며 7-8월에 성숙한다. 꼬투리는 마른채 가을까지 선채로 남아 있다.

 

꽃은 5-7월에 피고 양순형으로서 적자색이며 길이 1.5-2cm정도이다. 수상화서는 길이 3~8cm로서 꽃이 조밀하게 밀착하여 핀다. 포는 편심형이고 가장자리에 연모가 있으며 각각 3개의 꽃이 달리고 꽃받침은 길이 7~10mm로서 뾰족하게 5개로 갈라지며 겉에 잔털이 있고, 하순은 다시 3개로 갈라지며 중앙 열편에 거치가 있다.

 

높이 20-30cm이고 줄기는 네모지며 모여나고 가지가 갈라진다. 전체에 짧은 백색의 털이 있다. 꽃이 지면 원줄기에서 포복하는 가지가 나와 옆으로 뻗어 새로운 개체를 만든다.

잔뿌리가 사방으로 많이 뻗는다.

 

 

 

곧추서는 줄기는 하얀 털이 나 있다. 잎은 마주나는데, 줄기 밑에 달리는 잎은 깊게 갈라지기도 하나 위쪽에 달리는 잎은 갈라지지 않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둔한 톱니가 있다.

 

은 5~7월에 피고 붉은 보라색의 통꽃이며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부리는 2갈래로 갈라졌으며, 아래쪽은 다시 3갈래로 갈라졌다. 하얀색으로 꽃이 피기도 하며 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자라기도 한다.

 

봄에 어린순을 캐서 나물로 먹기도 하며, 꽃이 필 무렵 식물 전체 특히 꽃차례만을 캐서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말린 하고초(夏枯草)는 한방에서 임질·결핵·소염·이뇨에 쓰며 종기·연주창 등에 쓰기도 한다. 여름이 시작되면서 꽃을 피우는 꿀풀은 우리나라 곳곳에서 자라며 뜰에 흔히 심는다. 물이 잘 빠지며 반그늘진 곳이나 양지 쪽에서 잘 자란다. 申鉉哲 글

 

 

 

생육환경

 

▶양지에서 흔히 자란다.

▶배수가 잘 되는 비옥한 사질양토나 점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양성식물로 노지에서 월동 생육한다. 생육적온이 15℃정도이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재배.번식방법

 

보통으로 관수 관리한다. 환경내성은 보통이며 이식이 용이하다. 내음성과 내건성이 강하므로 양지바른 경사지나 절개지, 스키장 경사면 등 다른 식물들의 적응성이 떨어지는 다소 척박하고 경사진 장소에 식재하면 좋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부식질이 많고 배수가 잘 되는 사질양토에서 좋은 성장을 보인다.

 

햇빛을 좋아하는 관계로 하루에 4시간 이상 햇빛이 드는 장소에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배지나 조경식재지에는 유기질 함량을 높여 생장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 식재하기 전에 300평당 거름을900-1,200kg 가량 골고루 뿌려주고 경운을 해 준다 .

 

식재후 1차 관수를 하고 난 후에는 아주 건조하지만 않으면 활착한다. 식재거리는 보통 20-30cm 간격이면 되는데 당년에 개화하면 다음해 많은 개체가 나온다. 

 

결실기: 7월, 8월 

 

 

 

이용

 

▶화단에 심어 관상한다.

 

▶염료 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 꿀풀과의 식물은 대부분 독특한 향을 내는 식물로서 좋은 염료 식물이기도 한다. 꿀풀을 줄기째 채집하여 이용한 결과 물이 아주 잘들며 매염제에 대한 반응이 좋아서 다양하고 짙은 색을 얻을 수 있었다.

 

▶어린 순은 식용하고 성숙한 것은 약용한다.

 

 

 

꿀풀/두메꿀풀/흰꿀풀의 果穗(과수)는 夏枯草(하고초), 全草(전초)를 蒸溜(증류)해서 만든 芳香水(방향수)는 夏枯草露(하고초로)라 하며 약용한다.

⑴夏枯草(하고초)

①여름에 果穗(과수)가 반쯤 시들면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全草(전초)는 triterpenoid saponins을 함유하며, 그 sapogenin은 oleanolic aicd이다. 또 遊離(유리)의 oleanolic acid, ursolic acid, rutin, hyperoside, cis-caffeic acid, trans-caffeic acid, 비타민 B1,C,K, carotene, 樹脂(수지), 苦味質(고미질), tannin, 精油(정유), alkaloid, 水溶性 鹽類(수용성 염류) 등을 함유한다. 花穗(화수)는 anthocyanin의 delphinidin과 cyanidin, d-camphor, d-fenchone, ursolic acid를 함유한다.

③약효 : 淸肝(청간), 散結(산결), 消腫(소종), 利尿(이뇨), 血壓降下(혈압강하)의 효능이 있다. (나력), 瘤(영류), 急性乳腺炎(급성유선염), 乳癌(유암), 目珠夜痛(목주야통), 羞明流淚(수명유루), 頭目眩暈(두목현운), 口眼歪斜(구안왜사), 筋骨疼痛(근골동통), 肺結核(폐결핵), 급성 황달형전염성 간염, 血崩(혈붕), 帶下(대하)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 바짝 졸여서 膏劑(고제)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거나 짓찧어서 바른다.

 

⑵夏枯草露(하고초로)

(나력), 鼠瘻目痛(서루목통), 羞明(수명) 등을 치료한다. 30-60g을 뭉근한 불에 달여서 따끈할 때 복용한다. 

 

꿀풀 (학명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Nakai, 1911) 2011.05.24. 평택시 현덕면 신왕리 고성산

 

 

유사종

▶흰꿀풀(P. vulgaris L. for. albiflora Nakai) : 백색 꽃이 핀다.

▶붉은꿀풀(P. vulgaris L. for lilacina) : 적색 꽃이 핀다.

▶두메꿀풀(P. vulgaris L. var. aleutica Fern.) : 원줄기가 밑에서부터 곧게 서고 포복지가 없으며 짧은 새순이 원줄기 밑에 달린다. 

 

특징

꿀풀은 깨꽃과 같이 꿀이 많아 꿀풀이라고 불리우는데 사실 벌들이 많이 찾아온다. 

 

병충해정보

재배시 병충해는 그리 많이 발생되지 않는 편이다. 

 

 

 

꿀풀속(Prunella) 4종

 

갈래꿀풀 (Prunella pinnatifida Pers.)

꿀풀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Nakai)

두메꿀풀 (Prunella vulgaris var. aleutica Fernald)

흰꿀풀 (Prunella vulgaris f. albiflora Nakai)

 

 


 

 

사진출처

야생화겔러리 / http://floma.kr/xe/?mid=WildFlower

 

꿀풀과(Labiat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1.25 07:54

꿀풀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4.07.15 16:26

꿀풀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0.04.26 20:07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샤스타데이지. (Chrysanthenum burbankii)   (0) 2011.01.15
범부채 - 포토  (0) 2011.01.15
꽃사과나무 [crab apple]  (0) 2011.01.15
만첩홍도 - 포토  (0) 2011.01.15
까치수염 - 포토  (0) 2011.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