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위령선 [威靈仙] 의 효능

호남인1 2010. 7. 26. 11:29

 

 

 

 

 

위령선 [威靈仙]

 

모간과(毛茛科-미나리아재비과 : Ranunculaceae)에 속한 다년생 낙엽성 만경식물(蔓莖植物)인 으아리 Clematis mandshurica Maximowicz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로서, 가을에 채취하여 쇄건(曬乾)한 후 사용. 중국에서는 동속식물로 위령선 Clematic chinensis Osbeck, 면단철선연(棉團鐵線蓮) Clematic hexapetala Pall. 도 인정한다.

 

 

미나리아재비과의 으아리(Clematis mandshurica Maximowicz)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로 만든 약재(한국). 중국에서는 으아리(Clematis mandshurica Maximowicz), 위령선(Clematis chinensis Osbeck.:威靈仙), 산료(Clematis hexapetala Pall.:山蓼), 소목통(Clematis armandii Franch.:小木通)의 뿌리를 쓴다. 일본은 으아리, 위령선, 산료의 뿌리를 사용한다.

 

 

위령선

옛날 중국에 금슬 좋은 부부가 살았는데 남편이 바깥에서 돌기둥에 기대서 잠을 자다 중풍으로 사지마비가 되어 10년동안 드러눕게 되었다.

이때 어떤 의원이 부인에게 약초를 가르쳐 주며, "당신 남편은 풍과 습으로 인해서 온 중풍이니 내가 주는 약을 복용시키시오"하고는 산에 올라가 약초를 캐서 주었다.

 

부인은 잔뿌리를 잘라내고 물에 불렸다가 잘라서 막걸리와 버무려 달여 먹게 하고, 말렸다가 가루 내어 식초와 버무려 사지에 붙이게 하자 몇 개월 후에 남편은 걸을 수 있을 정도로 완쾌되었다.

부인이 의원에게 약초의 이름을 물으니 아직 이름이 없다하여 즉석에서 이름을 지었는데, "약의 성질이 위엄있고 신선과 같이 영험하니 위령선이라 짓자"고 하였다.

 

이 약은 냄새가 없고, 맛은 맵고 짜며 성질은 따듯하다.[辛鹹溫] 위령선은 풍습을 제거하고 관절굴신불리, 사지마비, 요통, 사지동통, 근육마비, 타박상을 치료한다. 오장의 기능 항진, 경락이 막혀 생기는 통증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은 혈압강하, 평활근 흥분, 이뇨작용, 혈당하강작용, 진통, 항균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뿌리줄기가 고르지 않은 덩어리 모양으로 윗 끝에 때로는 목질의 짧은 줄기가 붙어 있으며 긴 잔뿌리가 많다. 뿌리줄기 바깥면은 황갈색이며 섬유성이고 뿌리 바깥면은 갈색이나 흑갈색이며 세로 주름이 있고 꺾어지기 쉬우며 목부와 피부가 떨어지기 쉽다.

다른 이름으로 노호수(老虎鬚), 능소(能消), 영선(靈仙), 위령선(葳苓仙), 철각위령선(鐵脚威靈仙), 로선(露仙), 철선연(鐵線連), 소목통(小木通) 등이 있다.

[출처] 위령선 | 두산백과

 

 

 

위령선| 산약초 이야기

북두산산행 | 조회 9 |추천 0 | 2012.05.24. 10:08

 

위령선(ClematisbrachyuraMax) 위령선(Clematis Radix)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것으로서는 으아리 Clematis mandshurica Rupr 와 참으아리 C. terniflora 및 외대으아리 Clematis brachyura Max.를 약용하며 중국에서는 C. chinennsis와 C. mandshurica를 약용한다.

 

위령선은 다년생의 덩굴성 초본(草本)으로서 잘자라며 초고(草高) 2m에 이른다. 잎은 대생(對生)이고 우상복엽(羽狀複 葉)인데, 보통 5개의 작은 잎을 가지며 소엽(小葉)의 난형(卵形)또는 타원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저지(低地), 산야(山野)에 자생하며, 6월부터 8월사이에 독특한 흰색의 꽃이 피며 취산화서(聚散花序)는 정생(頂生)한다. 그러나 산야가 아닌 저지대에서는 이보다 화기(花期)가 앞설 수 있다.

과기(課期)는 9월이며 어린 잎은 산나물로 식용되기도 하는데, 독특한 향취 (香臭)가 있어 별미로 취급된다.

 

이들 생약의 뿌리를 중약(中藥)에서는 위령선이라고 해서 약용되는데, 채집은 가을철에서부터 이듬해 봄사이에 채취해서 그대로 또는 수치하여 약용 한다.

 

이 생약의 약성은 신(辛), 온(溫)이며, 귀경은 방광경(膀胱經, bladder meriduan)이다.

전통적인 또는 고전적인 약작용은 거풍습( 風濕, Removes mind-dampness)이며, 통경락 (通經絡), promotes meridian flow)또는 지통(止通) 비뇨기관의 조정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 또 각종 신경통, 관절염, 근육통, 졸중(apoplexy), 편두통, 부종, 수족마비, 언어장애, 통풍(通 風), 볼거리, 편도선염 등에 쓰이고, 일부 간염이나 황달에도 쓰인다고 했다.

 

위령선류가 함유하는 성분에는 으아리에서는 clematoside A, A′, B, C등의 배당체와 hederagenin이 들어 있고 우리나라의 생약에서는 flavonoid가 분리 보고된 바가 있다. Clematis brachyura에서는 hederagenin이 분리 보고되고 있다.

한편 C. chinensis에서는 ranunclin, anemol, steroids, saponin, amino acid, phenol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이들 생약이 지니고 있는 배당체나 saponin이 주약효물질로 간주될 수가 있다.

 

이들 생약에 대한 현대적인 추구에 의해서 시험관내 시험에서 이질(dysentery)세균에 대해 상당히 강력한 세균억제 작용이 있고, 또한 antifungal activities가 있어 microsporons이나 dermatophytes에 작용하여 효과를 나타낸다. 혈압에 대한 실험에서도 마취된 동물에 대해서 혈압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으며, 항뇨작용 (抗尿作用)은 상당히 강력한 것으로 보고 되어 있어 진통효과도 대단히 크다.

또 주목할만한 효과는 이 약품이 항염좌(抗捻挫, anti-sprain effact)작용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들 생약에 대한 재배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주로 천연산을 수집하여 약용하고 있다. 이들 생약을 주로 한 처방에는 영선산(靈仙散), 위령선환(威靈仙丸), 소풍활혈탕(疎風活血湯) 등이 있다.(Hahn, D-R) 신경통, 안면신경마비, 중풍, 편두통, 근육마비, 류머티스관절염, 허리아픈데, 손발이 마비된데 좋다

약호가 빠르다.

 

[특 징] : 다년생 덩굴식물로 길이 200cm 정도로 자란다. 줄기는 덩굴성 식물로 돌이나 나무를 기어오르면서 생장한다. 겨울에 대부분의 줄기가 고사하지만 지제부의 줄기가 살아 남으므로 목본으로 취급하며, 뿌리가 굵직하다.

 

잎은 마주나기로 달리며 5-7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난형으로 끝이 점차 좁아지고 밑은 둥글거나 넓은 쐐기모양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자루는 구부러져서 흔히 덩굴손과 같은 구실을 한다.

 

꽃은 6월-8월에 백색으로 피며 털이 없고 가지 끝과 잎짬에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4-5개로 도란상 긴 타원형이며 암술대에는 깃털 모양의 흰 털이 있다. 열매는 여윈열매로 난형이며 암술대가 꼬리처럼 달려있다.

 

[약효 또는 용도] : 어린잎은 묵나물로 이용하고 뿌리를 말린것(威靈仙)을 요슬통 , 천식 , 복중괴 , 풍질 , 각기 , 절상 , 파상풍 , 악종 , 발한등에 약용하고 영선산(靈仙散), 위령선환(威靈仙丸), 소풍활혈탕(疎風活血湯) 등의 처방에 활용된다.

출처 - 백두산심마니약제 /http://cafe.daum.net/ls0008

 

 

위령선[威靈仙]

일명 '으아리'라고 불리우는 위령선은 산야의 가장자리에 주로 자생하고 중국에서도 많이 자생하고 있는 식물이다.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는데 중국산과 비교하면 국산이 뿌리가 가늘고 중국산이 크고 굵은 편이다. 중국산이 국내유통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산이 중국산보다 겉에 주름이 많은편이고 구부러져 있는 반면에 중국산은 곧고 겉표면이 매끄러운 편이다.

 

다른이름 : 老虎鬚(노호수),能消(능소),靈仙(령선),위령선,鐵脚威靈仙(철각위령선)

약       맛 : 신(辛) 함(鹹)

귀       경 : 방광(膀胱)

주       치 : 屈伸不利,痰積,半身不隨,四肢拘急,腰膝冷痛,腰脊痛,諸骨?咽,肢節腫痛,肢體痲木,風寒濕痺

약용부위 : 뿌리

처       방 : 사묘산(四妙散) : 의학입문                  대강활탕(大羌活湯) : 방약합편

금       기 : 性이 走竄하므로 久服하면 正氣를 損耗하기 때문에 體弱者에게는 使用을 忌한다.

효       능 : 祛風除濕,軟堅散結,通絡止痛

주치증상 : <開寶本草(개보본초)> : 모든 風症(풍증)을 치료하고 五臟(오장)을 잘 통하게 한다. 복부가 차고 滯(체)한 증상을 치료하며 胸膈(흉격)에 정체된 痰水(담수)를 치료한다. 오랫동안 복부에 덩어리가 뭉쳐져 있던 것을 없애고 방광에 膿(농)과 惡水(오수)가 찬 것을 치료한다.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과 골절상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열성 전염명에 걸리지 않는다.<이고> : 금방 생기거나 오래된 積滯(적체)를 없애고 흉부에 쌓인 가래를 삭히고 피부와 대장에 침범한 風邪(풍사)를 발산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 李時珍(이시진) : 威(위)는 그 성질이 맹렬함을 말한다. 靈仙(영선)은 그 효과가 귀신같다는 뜻이다.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2.20 10:11

으아리속 (Clematis)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2.05 11:29

위령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2.07 18:00

클레마티스(Clematis)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0.07.26 11:56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나도냉이 - 포토  (0) 2010.07.26
유럽나도냉이 - 포토  (0) 2010.07.26
들갓 - 포토  (0) 2010.07.25
위령선 - 포토  (0) 2010.07.25
개버무리 - 포토  (0) 2010.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