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들잎개회나무
학명: Syringa fauriei H.Lev.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물푸레나무목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원산지: 한국 /한국(금강산)
낙엽활엽관목
버들개회나무는 높이 6∼7m까지 자라는 낙엽활엽수로 깊은 계곡 물가에서 주로 자생하며 5월 말∼6월 초에 피는 흰색의 꽃이 아름답고 향기가 강하다.또 유사종인 개회나무 열매의 길이가 2∼3㎝인데 비해 버들개회나무는 1㎝ 내외로 작고 잎이 가늘고 긴 것이 특징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버들잎개회나무 / 미기록종
------------------------------------------
희귀식물 ‘버들개회나무’ 국내 첫 발견
산림청 국립수목원 보전.복원연구팀이 금강산에서만 자라는 것으로 알려진 희귀식물 '버들개회나무' 군락지를 최근 강원도 남부에서 발견해 19일 공개했다. ⓒ국립수목원
물푸레나무과(科)의 버들개회나무는 1908년 금강산에서 처음 채집돼 명명됐으며 개회나무가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중국, 러시아에서 자라는 것과 달리 버들개회나무는 금강산에서만 자라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돼 왔다.
버들개회나무는 높이 6∼7m까지 자라는 낙엽활엽수로 깊은 계곡 물가에서 주로 자생하며 5월 말∼6월 초에 피는 흰색의 꽃이 아름답고 향기가 강하다.또 유사종인 개회나무 열매의 길이가 2∼3㎝인데 비해 버들개회나무는 1㎝ 내외로 작고 잎이 가늘고 긴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번에 발견된 버들개회나무 군락은 어미나무가 70그루, 어린나무가 80그루로 규모가 매우 작아 기후 변화에 따라 자연으로 도태 되거나 유전자 소실이 우려된다.
국립수목원 박광우 산림자원보존과장은 "버들개회나무의 최남단 자생지가 발견된 것으로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밀 조사를 벌이고 있다"며 "훼손 우려가 있는 일부 개체는 보존지역으로 이식해 증식.보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포천=연합뉴스)
-------------------------------------------------------------------------------------------------------
물푸레나무과(Ole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1.13 12:21
수수꽃다리속 (Syringa)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1.13 12:17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주솜대 - 포토 (0) | 2010.04.26 |
---|---|
흰정향나무 - 포토 (0) | 2010.04.26 |
수개회나무 - 포토 (0) | 2010.04.26 |
쥐꼬리풀 - 포토 (0) | 2010.04.26 |
수개회나무 (0) | 2010.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