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구슬골무꽃

호남인1 2010. 3. 31. 18:52

 

 

 

 

 

구슬골무꽃

학명: Scutellaria moniliorrhiza Kom. 

 

영명: Moniliform Skullcap. /원산지: 한국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통화식물목 >꿀풀과 >골무꽃속

분포: 백두산 지역에서 자란다. /크기: 높이 25cm 정도이다. /생육환경: 고산의 풀밭 또는 숲속에서 자란다.

 

다년생초본

높이는 25센티미터 정도이고, 잎은 마주나며 톱니가 있다. 7~8월에 홍자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하나씩 핀다. 백두산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구슬골무꽃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28870

 

 

잎은 대생하고 긴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지만 가지의 것은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원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1-3cm, 나비 3-12mm로서 표면에 길고 부드러운 털이 다소 있고 뒷면 맥 위에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약간 있고 엽병은 길이 2mm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홍자색으로서 윗부분의 엽액에 1송이씩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3mm로서 털이 있다. 꽃받침은 길이 4mm로서 끝이 거의 수평하며 상순(上脣) 뒷면에 부속편이 있고 화관은 투구 모양으로 곧게 서며 길이 12mm이고 겉에 흰색 털이 밀생한다.

높이가 25cm에 달하고 원줄기에 털이 거의 없으며 다소 예리한 능선이 있다.

근경은 염주같으며 다소 굵다.

------------------------------------------

 

다년초로 근경은 백색의 염주 모양으로 굵어지고 줄기는 곧추서며 다소 예리한 능선(稜線)이 있고 자색을 띠며 높이 12~25㎝이다.

잎은 대생하고 장란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1~3㎝, 너비 3~12㎜이며 끝은 둔하고 밑은 둥글거나 일(一)자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엽면에 백색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에 자색을 띠는 수가 있고 엽병은 길이 2㎜이다.

 

꽃은 7~8월에 홍자색으로 피고 윗부분의 잎짬에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약 3㎜로서 털이 있다.

꽃받침은 종형으로 끝이 거의 수평이며 상순 뒷면에 부속편이 있고 화관은 장통상순형이며 수직으로 서고 겉에 백색 털이 밀생하며 길이 약 12㎜이다.

 

본종은 근경이 백색의 염주 모양이고 꽃이 잎짬에 1개씩 난다.높은 산의 풀밭에 난다. 함남북에 나며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

출처 - 한국기준식물도감 - 기본정보

 

 

 

표본번호: KWNA200105081025

출처: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412.leaf?plntSpcmNo=KWNA200105081025

 

 

 

• 채집일자: 1933.07.25

• 채집지

• 소장 기관관: 강원대 생물학과

 

• 학명: Scutellaria moniliorrhiza Kom.

• 식물명: 구슬골무꽃

 

• 동정일자: 2001.05.08

• 동정자: 이우철

 

 

 

 

 

 

 

 

 

 

 

 

 

 

 

 

 

사진출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qa_board/2852578

-------------------------------------------------------------------------------

 

꿀풀과(Labiat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1.25 07:54

골무꽃속 (Scutellaria)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2.08 17:59

구슬골무꽃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1.01.01 1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