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광대수염
학명: Lamium album L. var. album
이명: 말광대수염, 광대수염, 긴잎털광대수염 /영명: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통화식물목 >꿀풀과 >광대수염속 /원산지: 한국
분포: 전남, 경남(해인사), 한국(강원, 평북, 함남북) 만주, 우수리, 시베리아, 몽고, 히말라야, 코카사스, 중앙아시아, 유럽
서식: 산야 /크기: 50cm 내외
다년생초본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50cm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다. 5~6월에 엷은 붉은빛을 띤 자색 꽃이 줄기 위의 잎겨드랑이에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어린잎은 먹고 뿌리는 약용하며 한국, 일본, 러시아의 사할린,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장란형으로 길이 5~8cm, 나비 3~5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다소 심형이며 가장 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다.
과실은 수과이며 종자는 4면형이다.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 위쪽의 잎짬에 윤산화서로 달리며 포는 선형이다. 꽃받침은 통형으로 5열하고 열편은 3각상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화관은 통상 순형이고 상순은 활모양으로 굽으며 털이 밀생하고 하순은 3열하여 밑으로 향하며 수술은 2강웅예이다.
줄기는 곧추 서고 네모지며 전주에 털이 있다.
전남, 경남(해인사), 강원, 평북, 함남북에 나며 만주, 우수리, 시베리아, 몽고, 히말라야, 코카사스, 중앙아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왜광대수염
학명: Lamium album L.
개화시기: 5월~6월
분포지: 한국, 중국, 러시아, 몽골, 중앙아시아, 유럽
일반적특징
다년초로 줄기는 곧추서고 네모지며 높이 50㎝ 내외이고 전주(全株)에 털이 있다.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장란형으로 길이 5~8㎝, 너비 3~5㎝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다소 심형이며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다.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 위쪽의 잎짬에 윤산화서로 달리며 포는 선형(線形)이다. 꽃받침은 통형(筒形)으로 5열하고 열편은 3각상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화관은 통상 순형이고 상순은 활 모양으로 굽으며 털이 밀생하고 하순은 3열하여 밑으로 향하며 수술은 2강웅예이고 과실은 수과이며 종자는 4면형이다.
본종은 광대수염에 비해 전체에 털이 많고 잎은 장란형이며 꽃은 백색이다.
생태적특징
산야에 난다. 전남, 경남(해인사), 강원, 평북, 함남북에 나며 만주, 우수리, 시베리아, 몽골, 히말라야, 코카서스, 중앙아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출처: 왜광대수염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1996.11.15, 아카데미서적)
---------------------------------------------------------------------
꿀풀과(Labiat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1.25 07:54
광대수염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4.07.16 18:51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주광대나물 - 포토 (0) | 2007.05.30 |
---|---|
안면용둥굴레 - 포토 (0) | 2007.05.30 |
섬광대수염 - 포토 (0) | 2007.05.30 |
용둥굴레 - 포토 (0) | 2007.05.30 |
각시둥굴레 - 포토 (0) | 2007.05.30 |